중국 유커의 금한령이 풀리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뉴스가 조금씩 흘러나오고 있다. 중국의 사드보복으로 영향을 받은 업종으로는 화장품, 면세점 관련주, KPOP이나 드라나와 관련된 엔터테인먼트, 여행, 유아, 카지노, 철강, 기계, 자동차 및 부품주들이 이에 해당한다.
중국의 사드보복에 변화의 흐름이 감지되는 이유는 먼저, 중국의 권력체계를 장악하려는 시진핑의 전인대가 막을 내려 어느정도 권력구도가 안정되었기 때문에 불만을 외부로 돌리려는 정치적 공작이 어느정도는 필요해지지 않았다는 데에 있다.
이런 흐름은 한국과 중국간의 통화스와프의 만기연장이 성사되면서 조금씩 점쳐 지고 있는데, 오보로 알려지긴 했지만 한국 단체관광에 대한 금한령이 풀렸다는 소식이 있었다.
너무 앞선 오보라고는 하지만 실제로 중국 여행상의 단체관광 문의가 다시 이루어 지고있고, 중국 항공사에서는 한국 전용기편을 되살리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고 한다.
그럼 사드 보복으로 영향을 받은 종목들과 이들 종목의 최근 주가 흐름을 살펴보자.
화장품 관련주
아모레퍼시픽, 아모레G, 코스맥스, 한국화장품, 한국콜마, LG생활건강, 코리아나, 토리모리, 잇츠한불
중국내 한류의 영향으로 국내에 들어오는 유커들의 싹쓸이 구매가 판을 치면서 엄청난 수익의 증가를 가져왔던 화장품주들의 주가가 바닥을 치고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아모레퍼시픽 주가>
<한국화장품 주가>
면세점 관련주
호텔신라, 한국갤러리아타임월드,신세계,롯데쇼핑
역시 화장품주와 함께 유커들의 쇼핑으로 활황을 맞았떤 면세점들의 주가도 바닥에서 서서히 상승하고 있는 모습.
<호텔신라 주가>
<롯데쇼핑 주가>
엔터테인먼트 관련주
와이제이엠게임즈, 에스엠, 키이스트, 초록뱀, JYP Ent. 초록뱀, 큐브엔터, 에프엔씨엔터, CJ CGV, 화이브라더스코리아
빅뱅, 슈퍼주니어, 소녀시대, 미스에이, 트와이스, 방탄소년단, 그리고 별에서온 그대와 상속자들, 태양의 후예 등의 KPOP과 한국드라마의 중국내 한류열풍으로 주복을 받다가 사드보복으로 주가가 바닥을 쳤던 엔터주도 서서히 고개를 들고 있는 모습.
<CJ CGV 주가>
<에스엠 주가>
여행 관련주
하나투어, 모두투어, 대한항공, 아시아나 항공
중국 단체 관광 금한령이 풀린다면 여행관련주가 가장 먼저 주가 변화를 보일듯.
<대한항공 주가>
<하나투어 주가>
카지노 관련주
파라다이스, 강원랜드, GKL
중국인들의 국내 여행과 관련한 종목들도 주가 변화를 보이고 있는 중..
<파라다이스 주가>
유아 상품 관련주
아가방컴퍼니, 보령메디앙스
중국 상품 중에서도 특히 민감한 애기들 유아용품에 대한 중국상품 불신으로 반사이익을 받았던 국내 업체들의 주가도 변화를 보이는 중. 거래량을 보면 거래가 들어오고 있음을 알수 있다.
<보령메디앙스 주가>
<아가방컴퍼니 주가>
철강, 기계 관련주
두산인프라코어, POSCO
철강, 기계 건설의 대표적인 중국 관련주라면 두산인프라코어. 주가전망을 중국의 일대일로 사업 및 미국의 인프라 정책과 연결해서 볼 필요가 있다. 두산 인프라 코어 현재주가 흐름을 보면 20선 60선을 돌파후 정배열 중.
<두산인프라코어 주가>
자동차 부품주
현대차, 기아차, 만도, 현대위아, 현대모비스
현대차와 기아차 주가 시세를 보면 역시 바닥권에서 상승중. 주가전망은 앞으로 중국의 사드 관련 정책이 어떻게 변할 것인가에 영향을 받을것으로 보인다.
<현대차 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