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스피 코스닥

(5)
나스닥 지수 vs 코스닥 주가 지수 내일 흐름이 중요한 이유 오늘 코스닥 지수가 1000포인트를 돌파한 이래 가장 많이 빠지며 0.94%하락했다. 전날 나스닥 지수가 연3일째 빠지면서 확실히 하락세를 보여준 영향으로 보인다. 명목상의 미국 증시 하락 원인은 코로나 재확산과 백신보급 지연으로 인한 코로나 사태가 지속될 것이라는 이유다. 나스닥 지수를 보면 작년 9월의 조정이후 계속된 상승세를 보이다가 올해 2월부터 다시 조정을 보이다가 이번에 전고점 부근에서 다시 하락하고 있다. 20일과 60일 이평선 까지는 빠질것으로 보인다. 코스닥 주가 지수 코스닥은 1000포인트를 돌파하며 연일 상승하고 있는 와중에 오늘 하락이 나왔다. 코스피의 오늘 거래액을 보면 개인이 2조 7천억을 매수하는 대량 거래가 들어왔는데, 기관과 외국인이 그만큼의 매도를 보이며 지수는 큰 폭으로..
5.16일 주목할만한 거래량 급등주 오늘은 북한의 고위급회담 취소로 인해 남북경협주들이 모두 하락세를 보이는 가운데 코스피와 코스닥에서도 10%이상 급등하는 종목이 그리 많지가 않았던 장. 전반적으로 코스피와 코스닥 모두 남북경협이란 대형 모멘텀이 없었다면 증권 시장이 어땠을까? 하고 생각해보게 된 장이었다. 오늘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주목해볼만한 10%이상 급등주를 뽑아봤다. 그래프는 일봉 차트. 코스피 ▶태영건설 태영건설 3개월의 조정후 전고점을 뚫는 전고점 돌파가 나오고 있다. 거래량이 이전 급등때보다 최소 10배이상이 두번이나 터지고 있는것이 주목. 코스닥 ▶서연전자 2년정도의 주가 하락후 기관의 매수세가 바닥 저점에서 강하게 들어오며 엄청난 거래량 급증과 함께 주요 이평선을 한꺼번에 돌파하며 장대양봉 시현 중. ▶KCI 주가 하락후..
미국 월요일 장마감, 증시 3대지수 그래프(나스닥, 다우, S&P500) 미국 증시가 급락장 이후 반등을 시작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전개될지를 보여주는 3대지수 나스닥 지수, 다우지수, S&P500 지수 그래프를 살펴보겠습니다. 미국시각으로 월요일 장마감 된 3대 시장의 특징을 보면 기술주를 중심으로 한 나스닥 지수는 신고가를 기록하며 지수가 상승하였고, S&P500은 쌍바닥후 전고점대에서 잠시 머무는 모습. 그리고 다우존스 지수는 이평선 지지받으며 반등후 전고점대에 이르지 못하고 다시 음봉을 뽑으며 주가가 다소 하락한 모습입니다. 그럼 미국 증시 3대 지수 그래프를 보겠습니다 나스닥 지수 미국 IT주를 중심으로 주식시장을 활기를 띄며 주가가 올라가고 있어 나스닥 시장은 신고가를 기록하며 전고점대를 돌파한 모습입니다. 대표적인 미국 IT주로 현재 이런 흐름을 가장 크게 리드하고..
오늘 현재 코스피 지수를 이끄는 매수세력과 매도세력 분석 연 5일동안의 코스피 코스닥 지수의 급락후 어제는 반등을 보이며 장이 마감. 어저께 미국 다운 지수와 S&P500 지수가 반등을 보여주며 장을 마감했기 때문에 이 영향을 받은 독일 증시는 반등을 보였고, 이제 장이 시작된 한국과 일본 증시도 반등을 보이고 있음. 그런데 국내 온르 현재 코스피 지수를 보면 장시작 갭상승으로 출발한후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음. 과연 지수를 올리고 있는 매수세력은 누구이고 매도세력은 누구인지 살펴보면.. 오늘 현재 코스피 지수 매매현황현재 코스피 지수 상승을 이끌고 있는 주체는 개인, 외국인과 기관은 모두 이시간 현재 매도를 보이고 있음. 특히 기관의 매도세가 강함. 이래서 갭상승후 지수가 하락하고 있음. 현재 코스닥 지수 그래프로 본 매매주체코스닥 지수 그래프를 보면 역시 매..
미국 금리인상 영향으로 오늘 코스피 코스닥 지수 모두하락 오늘 코스피 코스닥 지수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이어지면서 큰폭으로 하락했다. 주요 원인은 미국의 3월 금리인상이 유력하게 전망되면서 자금유출을 우려한 기관과 외국계 투자자들이 대량 매도에 나섰다는 분석. 미국 금리의 상승으로 채권 금리도 급등하며 증시 전반에 매도세를 가져온 것으로 보임. 오후들어 저가 매수세가 들어오며 낙폭을 좁힘. 오늘 코스피 매매주체별 동향을 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매도, 개인만 매수 유지. 자금 유출로 인한 증시 혼조세는 한국 증시뿐만 아니라 아시아 해외 증시 전체에 걸쳐 나타났는데, 일본 도쿄 증시는 전일에 비해 0.9%하락. 중국 증시는 반면 상승세를 보임. 상하이 종합지수는 전라보다 0.5% 상승. 홍콩 항셍지수도 0.22% 상승. 여기에 구글과 애플 실적이 시장 전망치에..